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우분투 22.04에서 fcitx 사용시 한자 입력

by hyperhand 2025. 3. 8.

 평소에는 한자를 입력할 일이 거의 없어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간혹 특수문자 입력시 한자키를 사용하게 된다. 윈도우도 마찬가지지만 우분투도 특수문자 입력하고 싶을 때 한글 자음 입력 후 한자키를 누르면 사용할 수 있는 특수문자들이 나오는데 요즘 나오는 키보드들 가운데 한자키가 없는 키보들도 많고 나 또한 그렇다.

 그래서 한자 입력 방법을 알아봤다.

 

설정

 먼저 한자키로는 오른쪽 Ctrl키를 사용할 것이다.

1. fcitx 환경설정 창을 연다. 방법은 인디케이터들 중 fcitx 입력기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터미널에 fcitx5-configtool 을 입력한다.

fcitx 설정

$ fcitx5-configtool

 

2. 입력기 탭 - 현재 입력기 중 한글 선택 - 설정 버튼 클릭

한글 fcitx 설정

 

3. 한자 모드 변환키 항목의 + 클릭 - 비어있음 클릭

한자키 입력

 

4. 그러면 키 입력을 기다리는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 한자키로 사용할 키를 누르면 된다. 그런데 내가 설정하고자 했던 오른쪽 Ctrl키를 누르면 Ctrl키 단독으로는 설정이 불가능했다. Ctrl에 다른 키 조합만 가능한 듯 보였다. 그래서 방법을 찾아보니 방법은 있었다.

 

5. 터미널에 xev 입력. 그러면 키보드로 입력하는 키에 대한 정보가 나오는데 오른쪽 Ctrl 키를 누르니 아래와 같이 나왔고, 여기서 확인해야 할 것은 keycode 부분이다.

$ xev

xev keycode 확인

 

6. 다시 터미널에서 .Xmodmap 파일을 편집한다.

$ gedit ~/.Xmodmap

 

에디터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저장한다.

keycode 105 = Hangul_Hanja

 

7. xmodmap으로 오른쪽 Ctrl키를 한자키로 매핑시킨다.

$ xmodmap ~/.Xmodmap

 

8. 터미널에서 xmodmap을 입력하면 오른쪽 Ctrl키가 Hangul_Hanja 키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xmodmap
xmodmap:  up to 4 keys per modifier, (keycodes in parentheses):

shift       Shift_L (0x32),  Shift_R (0x3e)
lock        Caps_Lock (0x42)
control     Control_L (0x25),  Hangul_Hanja (0x69)
mod1        Alt_L (0x40),  Meta_L (0xcd)
mod2        Num_Lock (0x4d)
mod3      
mod4        Super_L (0x85),  Super_R (0x86),  Super_L (0xce),  Hyper_L (0xcf)
mod5        ISO_Level3_Shift (0x5c),  Mode_switch (0xcb)

 

9. 다시 3번 스텝에서 비어있음 클릭 후 오른쪽 Ctrl키를 누르면 키코드가 나타면서 오른쪽 ctrl키 단독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한자키 설정 재시도

 

10. 여기까지 오면 한자 입력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다른 분들은 재부팅이 되면 설정이 풀려버려 다시 한자키 작동이 안된다고 하던데 나는 설정이 유지가 됐다.